show video detail
서울에 살 집이 필요하다는 기러기 아빠가 된 친구, 그래서 집을 짓고 같이 살자고 했다ㅣ서울 도심 속 35평 땅을 사서 반으로 나누고 사이좋게 지은 공동명의 쌍둥이집ㅣ#건축탐구집
- Published_at:2025-01-30
- Category:Travel & Events
- Channel:EBS 컬렉션 - 라이프스타일
- tags: EBS EBS컬렉션 ebs collection collection 세테기 세계테마기행 travel 여행 라이프스타일 다큐멘터리 documentary lifestyle humanism culture tradition home living 다큐멘터리 다시보기 휴먼다큐 다큐 감동 브이로그 인간극장 자연인 휴먼다큐멘터리 리빙 힐링 문화 역사 history architect
- description: ❚ 건축탐구집 | 조립식 가족, 친구와 살고 있습니다 ❚ 2024년 12월 31일 방송 서울시, 구도심의 좁은 골목길 사이에 솟아난 나무 같은 집. 콘크리트와 나무가 뒤섞인 묘한 외형이라 동네에서 단연 눈에 띈다. 두 채가 나란히 우뚝 선 쌍둥이 집은 45년 지기 두 남자가 함께 살기 위해 지었다고. 어린 시절부터 한동네에서 같이 자랐다는 종일 씨와 정인 씨. 친구이자 형제처럼 사십여 년간을 함께 지내던 어느 날, 정인 씨가 기러기 아빠가 되면서 그 인연이 깊어졌다. 가족들을 미국에 남겨 놓고 한국에 홀로 돌아와 일해야 했던 정인 씨. 그는 당장 서울에 살 집이 필요했던 상황이라 고민이 많았다. 마침, 사무실이 필요했던 종일 씨. 건축가였던 정인 씨를 믿었던 종일 씨는, 그에게 같이 집을 지어 보자 먼저 제안했다. 그렇게 땅을 보고 계약하는 데 걸린 시간은 겨우 일주일! 그렇게 건축가 정인 씨의 실험은 첫발을 내디뎠다. 35평 땅 위로 두 채의 집을 짓는 설계에 도전한 정인 씨. 그는 이 집을 실험체 삼았다는데, 콘크리트 골조에 나무집을 끼워 넣은 독특한 구조로 짓는 것이 이 집의 목표였다. 그러나 이곳은 서울의 구도심. 주변 건물의 밀도가 높아 법규적 조건이 까다로웠던 땅이다. 이에 굴하지 않았던 정인 씨는 오히려 이 점을 설계에 반영했다는데. 먼저 건축 규제에 맞춰 외형을 만들고, 그걸 딱 반으로 나눈 뒤 공간은 서로 엇갈리게 회전시켜 만든 쌍둥이 집. 문제는 땅이 가진 조건에 맞춰 만들어진 집이라, 90도가 거의 없을 만큼 내부 설계가 복잡했다. 양쪽의 각도가 다른 박공지붕부터, 각층별 공간의 모양과 계단의 형태까지 다 달라 몇몇 인부들은 시공을 포기했을 정도. 현장에서 시공과 설계가 정확하게 맞아떨어지질 않아, 무려 세 번이나 거푸집을 뜯고 다시 하길 반복했다. 정인 씨가 현장소장을 자처하며 매일 현장으로 출근한 덕에 겨우 완성할 수 있었다고. 서로를 믿고 의지한 덕분에 지어진 쌍둥이 집. 하지만 아무리 친해도 이것 하나만큼은 양보할 수 없었다는데, 바로 ‘온도’였다. 각 공간은 그 생활 방식에 따라 다른 온도를 가져야 한다는 철학을 가졌던 정인 씨. 그 때문에 콘크리트에는 단열하지 말자고 주장했었다는데, 이 실험만큼은 종일 씨가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그렇게 겉은 일란성이지만 속은 이란성인 쌍둥이 집 탄생! 정인 씨는 각 층의 공간별로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 중이지만, 종일 씨는 어디서든 늘 따뜻한 온도로 지내고 있단다. 집은 다 지어졌지만, 이제는 또 다른 실험을 계획 중이라는 두 사람. 예술적 영감이 필요한 젊은 작가들에게 집을 개방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서로 의지하며 인생의 계단을 같이 걷고 있다는 두 사람. 45년 지기 친구의 실험적인 집을 탐구해 본다. #건축탐구집 #35평 #쌍둥이집 #서울단독주택 #실험적인집 #건축가가지은집
ranked in date | views | likes | Comments | ranked in country (#position) |
---|---|---|---|---|
2025-02-02 | 249,900 | 2,210 | 131 | (,#20) |
2025-02-03 | 292,258 | 2,522 | 163 | (,#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