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 video detail
![주코시스: 동물원·동물쇼 동물들에게서 발견되는 정신이상 증세](https://i.ytimg.com/vi/SqCGhiEtkIY/hqdefault.jpg)
주코시스: 동물원·동물쇼 동물들에게서 발견되는 정신이상 증세
- Published_at:2015-03-03
- Category:Nonprofits & Activism
- Channel:Se-Hyung Cho
- tags:
- description: 주코시스: 동물원·동물쇼 동물들에게서 발견되는 정신이상 증세.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같은 구간을 반복해서 왔다갔다하기, 뱅글뱅글 돌기, 몸 흔들기, 자해 등이 있으며, 야생의 서식지에서 주어지는 환경적 자극의 박탈, 외로움, 스트레스, 자포자기 등으로 인한 정신이상에 기인한다. 동물원에 대해 아무런 문제의식을 느끼지 못했던 시절, 제게는 서울동물원에 갔다가 우리 안을 시계 방향으로 도는 늑대를 보며 의아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당시 저는 목적도 없어 보이는 동작을 반복하는 늑대의 그런 행동이 동물원의 부적합한 환경에서 기인한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습니다. 동물원 동물들을 야생의 생존경쟁과 먹이사냥을 면제받은, ‘팔자 좋은 동물’로 여겼던 제게 그런 생각이 들 리 만무했죠. 많은 동물원·동물쇼 동물들이 야생에서 주어지는 본연의 환경적 자극을 받지 못한 채 우리에 갇혀 사는 스트레스로 정신이상 행동을 보입니다. 이런 행동의 대표적인 예로는 코끼리가 한 자리에 서서 몸을 앞뒤로 흔드는 동작을 반복하는 행동, 호랑이나 곰이 우리에서 일정한 구간을 왔다 갔다 하는 행동, 먹이를 토하고 다시 먹는 행동, 물체를 핥거나 씹는 행동, (깃)털을 과도하게 손질하는 행동 등이 있습니다. 비좁고, 불결하고, 황량한 사육장에 갇혀 사는 동물원·동물쇼 동물들은 자연의 서식지에서 누리는 넓은 공간과 다양한 환경, 자유를 전혀 누리지 못합니다. 이러한 박탈은 단조로운 환경으로 인한 지루함, 외로움, 스트레스와 결합하여 많은 동물들을 정신이상에 이르게 하고 있습니다. 이런 행동은 동물원·동물쇼 동물뿐만 아니라 오늘날 ‘고기공장’이 되어버린 농장에서 식용으로 길러지는 동물들에게서도 나타나곤 합니다. 동물복지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동물원이 지상에서 사라져야 한다"는 극단적인 주장도 들립니다. 이 영상에도 동물원과 동물쇼에 가지 말라고 합니다. 동물쇼는 당연히 사라져야 할 시대착오적인 악습이기에 동물쇼를 근절하려면 동물쇼에 가지 말아야 하며, 실제로 동물쇼는 전세계적으로 금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동물원에 대한 저의 생각은 다릅니다. 그러나 인간이 지구의 대부분을 잠식해버린 지금, 동물들에겐 야생의 서식지가 거의 남아있지 않습니다. 빠른 시일 내에 동물원이 사라지는 것이 가능할까요? 동물원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면, 그곳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이 지속적으로 개선을 요구해야 합니다. 어떤 개선을 요구해야 할까요? 동물원이 미래의 진보적 동물원으로 거듭나기 위한 지침이 되는 책 한 권을 소개합니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8539127 그 동안의 기억을 떠올려보면, 저는 동물원에 갔을 때 사진이나 영상으로 보던 야생동물의 실물을 확인하는 데만 관심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사람들에게 동물원은 그저 일 년에 한 두번, 기껏해야 한나절을 머무르는 공간일 뿐입니다. 그러나 동물들은 그곳에서 '평생'을 살아갑니다. 이 책은 동물원 동물들의 '삶'을 보게 해줍니다. 본래의 서식환경과 거리가 먼 공간에 갇혀 평생을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 그 고통의 무게를 우리는 상상할 수 있을까요?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기 바랍니다. 동물보호 활동가는 물론, 동물원이라는 공간을 한 번이라도 방문했거나 방문할 예정인 사람들은 꼭 읽었으면 합니다. 이 책이 아이들을 동물원에 데려가는 모든 가정, 전국의 도서관, 학교의 서가에 자리 잡기를 바랍니다. Help us caption & translate this video! http://amara.org/v/GM4R/
ranked in date | views | likes | Comments | ranked in country (#position) |
---|---|---|---|---|
2015-11-10 | 50,186 | 21 | 7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