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 video detail
[김광일의 입] ep25. 조용할 틈 없는 文의 청와대(feat.우윤근 의혹)
65K 10K 522 13:14
[김광일의 입] ep25. 조용할 틈 없는 文의 청와대(feat.우윤근 의혹)
  • Published_at:2018-12-17
  • Category:Education
  • Channel:조선일보
  • tags: 조선일보 우윤근 김광일의입 김광일 청와대 문재인 문재앙 박근혜 이명박 고성국 고성국tv 신의한수 김문수 이언주 홍카tv 홍준표 임종석 조국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보수 우파 우파채널 보수채널 보수 유튜버 특별감찰반 김태우 수사관 tv조선 비디오머그 엠빅뉴스 윾튜브 불법감찰
  • description: #조선일보 #김광일의입 #우윤근 #청와대 #임종석 7급 공채로 들어와 지금은 6급인 김태우라는 검찰 수사관이 있다. 김태우 수사관은 청와대로 발탁돼 민정수석실 반부패비서관 밑에 특별감찰반원이 된다. 김태우 수사관은 지금은 검찰로 다시 쫓겨나 있는데, 지난 14일 언론에 폭로를 했다. 자신이 우윤근 주 러시아 대사의 비리 의혹을 보고했기 때문에 거꾸로 자신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우윤근 대사는 이 정권 초기에 청와대 비서실장 물망에 올랐을 정도로 정권 핵심 실세로 통한다. 앞으로 비서실장이 될지도 모른다. 김태우 수사관이 ‘우윤근 의혹’ 보고서에 담은 내용은 두 가지다. 첫째는 2009년 건설업자 장모씨가 조카 인사 청탁과 함께 1000만원을 우윤근 민주당 의원에게 줬다가 총선이 있던 2016년 돌려받았다는 것이다. 둘째는 2011년 김찬경 전 미래저축은행 회장이 우윤근 당시 국회 법사위원장과 사시 동기생인 변호사 A씨에게 수사 무마 명목으로 1억2000만원을 건넸고, 이중 1억원을 우윤근 법사위원장이 받았다는 내용이다. 서울 성동구에 자택이 있는 건설업자 장모씨, 서울 구로구에 주소지가 돼 있는 A변호사는 언론 접촉이 안 되고 있다. 청와대는 일단 “사실이 아니다”고 했다. 청와대의 부인(否認)을 팩트 점검 차원에서 하나씩 따져보겠다. 우윤근씨가 돈을 받았다는 김태우 수사관의 보고서가 작성 됐을 때 우윤근씨는 국회 사무총장이었는데, 청와대는 “국회사무총장은 특별감찰반에 의한 감찰대상이 아니다, 국회사무총장을 대상으로 특별감찰을 했다면 불법이다”고 했다. 특별감찰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자리에 대해서만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태우 수사관이 우윤근 씨에 대해 알아본 것은, 그를 국회 사무총장으로서가 아니라, 주 러시아 대사 후보로서 알아본 것이 아닌가? 대사 후보를 인사 검증 차원에서 알아본 것도 불법 감찰이 되는가? 청와대는 전체적으로 “사실이 아니다”고 했는데, 무엇이 사실이 아니라는 뜻인지 국민들의 궁금증에 구체적으로 답변해야 한다. 비유를 하나 들겠다. ‘옆집 아이가 어제 낮에 우리 집 닭장에서 계란 4개를 훔쳐갔다가 오늘 돌려주었다’라는 폭로가 있다고 해보자. 이 간단한 문장에도 팩트가 무려 10가지가 넘는다. 알고 보니 ‘옆집 아이’가 아니라, ‘뒷집 아이’였어도, ‘옆집 아이’가 아니라 ‘옆집 아저씨’였어도 그냥 뭉뚱그려 “사실이 아니다”고 말할 수 있다. ‘어제 낮’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어제 저녁’이었어도, ‘계란 4개’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계란 3개’ 혹은 ‘계란 6개’였어도 “사실이 아니다”고 할 수 있다. 사실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 방법은, 팩트 10가지에 대해 각각 다 적용된다. 청와대는 해명을 하려면 하나씩 하나씩 낱낱이 해야 한다. 두루뭉술하게 전체적으로 “사실이 아니다”고 하면 무엇은 사실이고, 무엇은 사실이 아닌지, 혼란스럽기만 하다. 우윤근씨는 건설업자 장씨에게 인사 청탁을 받은 일이 있는가, 없는가. 인사 청탁을 받았다면 그건 어떤 직장인가. 우윤근 대사와 건설업자 장씨 사이에는 돈이 오간 사실이 아예 없는가. 아니면, 돈이 오가긴 했는데, 액수가 다르다는 얘기인가. 김태우 수사관은 우윤근씨가 장씨로부터 2009년에 돈을 받았다가 무려 7년 뒤인 2016년에 돌려줬다고 했다. 1000만원을 받았다가 무려 7년 뒤에 돌려준 것도 개인 간에 상식적인 금전 거래라고 할 수 있겠는가. 이에 대한 청와대의 구체적인 답변은 뭔가. 액수가 잘못됐다는 것인가, 아니면, 돈을 주고받은 년도가 잘못됐다는 뜻인가. 청와대의 설명이 워낙 부실하자, 언론은 우윤근 대사에게 직접 물었다. 우 대사는 한 신문과 통화에서 “(장 회장을 포함한) 두 사람을 만난 적은 있지만, 취업 청탁은 물론 후원금 등 돈을 받은 사실이 없다”고 했다. 우 대사는 “장씨가 유세장에 나타나 ‘선거를 도왔으니 100만원이라도 달라’며 행패를 부려 차용증을 쓰고 (‘받고’라고 해야 될 말을 잘못 표현한 듯) 증거를 남기기 위해 계좌로 1000만원을 입금했고 모두 인사팀에 제출했다”고 말했다. 자, 그런데 우 대사 해명도 납득 불가능이긴 마찬가지다. 100만원을 달라고 행패를 부리는 사람에게 1000만원을 주는가. 100만원을 달라고 행패를 부리면 곧바로 경찰에 신고를 하든지, 아니면 그 절반쯤 깎아서 50만원쯤 주고 달래서 보냈다고 해야 설득력 있는 해명이 되지 않겠는가. 우윤근 대사가 장 회장에게 1000만원을 송금한 시점은 20대 총선을 코앞에 둔 2016년4월7일이다. 그런데 이 송금 과정과 송금 방식도 비상식적이다. 우윤근 대사의 비서실장인 김모씨가 자신의 동서(同壻) 명의로 송금한 것이다. 김태우 수사관의 보고서에는 당시 김모씨와 장회장이 주고받은 음성파일이 첨부돼 있다. 음성파일을 들어보면, 돈 1000만원을 받은 장 회장이 이렇게 말한다. “선거가 끝나는 날 차용증은 바로 찢어버리거나 소각시키는 겁니다.” 그러자 김씨는 “걱정하지 말라”고 대답한다. 여기도 석연찮은 점은 있다. 떳떳한 돈거래였다면, 우윤근 대사가 직접 송금하면 될 일이지, 왜 ‘측근의 동서(同壻)’라는, 두 단계나 건너 뛴 차명계좌를 이용했느냐 하는 점이다. 또 선거와 무슨 관계가 있길래 선거가 끝나면 차용증을 찢어버리라고 했는가. 장 씨는 “서울 강남에 있는 호텔에서 조모 변호사 소개로 우 의원을 직접 만나 대기업 면접을 앞둔 조카를 최종 합격 시켜 달라며 500만원씩 두 차례 걸쳐 총 1000만원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그 뒤 조카 취업이 안 돼서 여의도에 있는 호텔 커피숍에서 우 의원을 따로 만나 ‘취업 사기꾼’이라고 따졌더니 우 의원이 정치자금인 줄 알았다고 해명했다는 것이다. 자, 이제 초점은 하나다. 우윤근 대사는 건설업자 장씨에게 정치후원금이든 인사청탁 뇌물이든, 현금 1000만원을 받은 적이 있는가, 없는가. 현금을 받은 적도 없는데, 귀찮게 하니까 그냥 입막음용으로 1000만원을 주었다는 말인가. 받았던 돈을 돌려준 것인가, 아니면, 받은 적도 없는 돈을 그냥 준 것인가. 김태우 수사관은 ‘우윤근 의혹’이 특별감찰반장, 반부패비서관, 민정수석에게 차례로 보고됐고, 조국 민정수석이 이를 임종석 비서실장에게 보고했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임종석 실장은 “사실로 판단되니 대비책을 마련하라”는 지시까지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임실장은 “보고 받은 바 없다”고 부인했고, 김의겸 대변인도 “민정이 자체 종결한 것으로 임 실장에게 보고되지 않았다”고 했다. 그런데 여기에서 청와대와 우윤근 대사의 해명 사이에 스텝이 꼬이는 일이 발생했다. 우윤근 대사는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대사 부임 시점에 임 실장이 관련 사안을 물었고, 전혀 문제가 없는 사안으로 결론 난 사안이라는 취지로 답했다”고 말했다. 우윤근 대사가 나중에 말을 바꾸긴 했지만, 어쨌든 임 실장이 먼저 관련 사안을 물었다면, 그도 금품 수수 의혹에 대해 알고 있었다는 것이고, 알고 있었다면, 보고를 받았다는 뜻이 된다. 우윤근과 청와대, 둘 중 누구 말이 맞는가.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 수석은 김태우 수사관을 지목해서 “궁지에 몰린 미꾸라지 한 마리가 개울물을 온통 흐리고 있다”고 했다. 윤영찬 수석은 “곧 불순물은 가라앉을 것이고 진실은 명료해질 것”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윤 수석은 청와대라고 하는 개울물 바닥에 불순물이 있다는 것은 인정하는가. 바닥에 깨끗한 돌멩이만 깔려 있는 일급수 개울물은 미꾸라지가 살지도 않을뿐더러, 설렁 미꾸라지가 산다고 해도 절대로 물이 흐려지지 않는다. 궁지에 몰려 있는 것은 미꾸라지가 아니라 혹시 청와대 아닌가. 그리고 또 하나는,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불과 얼마 전까지 청와대에서 한 솥밥을 먹었던 사람에게 ‘미꾸라지’라고 비유를 하는가. 청와대에서 물러난 수사관은 인격도 품격도 없어지는가. 그 미꾸라지가 개울물을 흐리는 정도가 아니라 정권이라는 둑에 구멍을 낼까 두렵기 때문인가.
ranked in date views likes Comments ranked in country (#position)
2018-12-18 65,031 10,056 522 (South Korea,#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