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 video detail
채널A 유착 의혹 제보자 직접 출연! 유시민을 친다? 3월말 4월초 기간까지 언급된 이유?
- Published_at:2020-04-04
- Category:News & Politics
- Channel:KBS더라이브
- tags: KBS 최욱 더라이브 매불쇼 김어준 뉴스공장 레전드 토론 요약 유시민 알릴레오 한동훈 최강시사 최경영 오도독 다스뵈이다 검사 김경래 신라젠 주주총회 민박사 조국 정경심 김건휘 윤석열 장모 사주 정리 유재일 상폐 주가 전망 수혜주 테마주 mbc 채널a 하누리 조수진 김민지 김종석 명단 녹취록 더룸 박지훈 이동재
- description: #강의료30만원이전부 #용기내증언한이유 #통화기록제시_반론환영 제보자/ 이철 전 밸류인베스트코리아 대표 지인 20. 4. 2. KBS1 '더 라이브' 방송 中 구독과 좋아요는 더 라이브를 더더더~ 열일하게 합니다💪 하루의 마무리로 라이브 채팅을 즐겨봐요☕ KBS 1TV 월요일 밤 11시, 화수목 10시 55분 생방송🏃 KBS1, myK, Youtube, Facebook 라이브 📢더 라이브 구독하기(http://bitly.kr/NmDNy) ✍더 라이브 커뮤니티(http://bitly.kr/thcBr) ▶홈페이지 http://program.kbs.co.kr/1tv/culture/thelive ▶팟빵 http://www.podbbang.com/ch/1774051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thelivekbs1 ▶트위터 https://twitter.com/kbs1thelive ▶제보 및 의견: kbs1thelive@gmail.com * 인터뷰 내용을 인용, 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KBS '더 라이브'을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최욱: 지금 가장 뜨거운 이슈로 떠오른 채널A와 검찰 간의 유착 의혹, 이 사건의 핵심 인물을 저희 더 라이브가 모셨습니다. 언론에 이 사건을 최초로 제보한 분인데요. ■오언종: 먼저 처음 채널A 기자와의 만남부터 짚어보겠습니다. 이철 씨가 뭐라고 하면서 채널A 기자를 만나보라고 했습니까? ■제보자: 채널A 기자가 먼저 세 차례 편지를 보냈어요, 이철 대표한테. 그 내용이 좀 충격적이었고 좀 공포스럽고 당황스러워서 가족을 수사할 수 있다, 언제부터 수사가 들어간다든가. 수사 내부적인 정보가 많았고 또 수사반을 다 윤석열 총장이 직접 뽑은 수사고나들이다. (편지에) 이렇게까지 쓰여 있었어요. 저는 처음에 이게 과연 기자가 보냈을까 의심을 했죠. 그래서 제가 이철 대표한테 당황하지 말고 ‘내가 먼저 만나볼게’라고 통보하고 그다음에 만났어요. ■최욱: 그래서 채널A 기자를 우리 선생님께서 직접 만나게 되시는 겁니다. 그때 채널A 기자는 뭐라고 하던가요? ■제보자: 첫 만남부터 채널A 법조팀장이라고 자기를 소개한 기자는 ‘검찰하고 네트워크가 있다’. 유시민 씨와 친여 성향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 어떤 걸 얘기해주지 않으면 ‘가족 죽는다. 와이프 구속된다’ 그리고 20년, 30년 (징역을) 더 살 수 있다, 이런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죠. ■오언종: 그러니까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에 대한 정보를 달라. ■제보자: 돈을 건넨 정보를 달라 그런 거였어요. ■오언종: 어떤 연루 의혹이 있는 거 아니냐, 이런 식으로 의도를 한 겁니까? ■제보자: (기자) 본인을 연루 의혹이 있다고 판단하고 접근을 했던 거 같아요. ■오언종: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이외에 다른 이사들에 대한 내용도 나온 게 있습니까? ■제보자: 채널A 기자는 이런 식으로 이야기했어요. 유시민 작가 그다음에 친여 성향, 문재인 정부의 청와대 관계자들, 이런 사람들의 자금거래를 제보해라. 그러면 여러 가지 재판과정에서도 선처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부인이 구속될 수도 있는데 이거 (제보)하면 불구속으로 한다든가. 집행유예 정도는 가능할 거 같다 이런 식이었죠. ■오언종: 유시민 이사장에 대해서 연루 의혹을 파헤치고 싶다, 치고 싶다 이렇게 한 이유는 뭐라고 하던가요? ■제보자: 검찰도 유시민을 치고 싶어 한다. 그래서 제가 왜 그러냐고 물어봤어요. 지난 조국 관련된 내용이나 윤석열 총장 관련해서 유시민 이사장이 ‘알릴레오’를 통해서 검찰을 많이 공격했다. 그래서 검찰도 유시민을 그냥 잡고 싶어 한다 이런 내용이었죠. ■최욱: 그러면 채널A 기자의 확신처럼 이철 대표가 혹시 지금 현 정권의 친여 성향의 인사들의 비위가 있다고 하던가요? ■제보자: 없었어요. 없다는 얘기는 그 전부터 누차 들었고요. 이철 대표에 대한 수사는 최근에 일어난 게 아니고 박근혜 정권 때, 우병우 민정수석 있을 당시에 수사가 진행됐던 거예요. 그래서 그때 여러 가지 현금 과정을 털만큼 탈탈 털었거든요. 탈탈 털어서 만약에 뭔가 있었다면 오히려 지금 문재인 정부에서보다도 박근혜 정부 때 우병우 민정수석 당시에 얼마든지 검찰이 노리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지 않겠어요? (비위가 실제로) 있었다면요. 제가 그 과정에서도 누차 여러 경로로 본인한테도 확인했는데 전혀 없었어요. ■오언종: 관계가 전혀 없었다는 말씀이세요? ■제보자: 관계는 일부 있었어요. 이철 대표가 신라젠 개입 초창기 때 (유시민 이사장이) 강연을 한다든가 축사를 한다든가 그런 관계는 있었는데 그 당시에는 정상적인 강연료, 제가 알기로는 1회 20만원, 30만원 (지금한 것) 그게 다입니다. ■최욱: 그러면 채널A 기자의 부탁, 또는 협박을 들어주고 싶어도 들어줄 수 없었겠군요. ■오언종: 그런데 채널A 기자가 뭔가가 있으니까 그런 말을 한 거 아니겠습니까? 근거가 있습니까? ■제보자: 저도 근거를 물어봤죠. (채널A 기자가) “근거 있다” 채널A 기자들을 3번 만났습니다. 2번은 장충동에 있는 커피숍에서 만났고요. 한 번은 채널A 본사 대회의실에서 만났고요. 첫 번째 만날 때부터 자기네들의 검찰에 대한 네트워크를 과시했죠. 두 번째 만날 때는 다른 채널A 대검찰청 출입기자가 동석해서 자기들이 윤석열 측근하고 통화한 녹취록을 보여주겠다. 이걸 믿고 자료가 있으면 건네라 이런 형식이었어요. 이런 거죠. 녹취록을 두 번째 만날 때는 소지품을 다 꺼내놓자 그러더라고요. 왜 그러냐니까 혹시 녹음될 수 있으니까 ■오언종: 서로의 소지품을 다 꺼내자. ■제보자: 저는 녹음을 해야 되니까 이 상황을. 핸드폰을 두 개를 가져가서 하나는 안주머니 깊이 넣고 바깥 주머니에 있는 거 꺼내놓고 나왔죠. 본인들도 다 꺼내놓고 그러고 나서 대화가 진행됐는데 처음 만날 때 ‘윤석열 라인’, ‘핵심측근’, ‘고검’ 그래요. 제가 처음 만나고 헤어질 때부터 검색을 해봤어요. 검색을 해보니까 윤석열 측근 중 고검에 들어가는 건 O검사장밖에 없더라고요. 두 번째 만났을 때도 더 강력하게 ‘윤석열 완전 핵심 측근’이다. 그러고 나서 그 녹취롤을 보고 나서 제가 만남을 거부했어요. 만남을 거부하니까 다시 연락이 와서 그럼 이제 녹취파일의 음성을 들려주겠다고 해요. ■오언종: 1차적으로 녹취록을 보신 거고. 2차로 녹취 파일을 들으신 거네요. ■제보자: 2차로 갈 때는. 세 번째 만남이죠. 채널A 본사 대회의실에 가서 만났는데 음성 파일을 들려주기로 한 전날, O검사장에 대해서 피디수첩에서 통화한 목소리가 나온 게 있어요, 몇 차례. 그걸 한 대여섯 번 듣고 가서 갔어요, 미리. 그리고 가서 만나서 또 들어봤어요. 근데 그렇더라고요. 그 회의가 끝나자마자 다시 한 번 또 확인했어요. 피디수첩에 나온 통화내용을. 그래서 제 판단은 분명히 맞다고 생각했죠. ■오언종: 그런데 제보자께서 녹취 파일의 주인공으로 지목하신 해당 검사장은요. 이 사실을 전면 부인하고 있거든요. 현재 신라젠 수사를 담당하고 있지도 않고, 채널A을 통해서 본인이 아니라고 확인받았다고 하면서 오히려 이름이 팔린 본인이 피해자라고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선생님께서 목소리를 잘못 들었을 가능성은 없습니까? ■제보자: 해당 검사장이 당사자인 채널A 쪽에 물어봐서 난 아니라고 확인받는 게 누구한테 검증이 된 건지 모르겠어요. 이런 걸 제대로 검증하려면 제 생각에는 그런 것 같아요. 해당 당사자인 검사장의 핸드폰 두 달 치 통화 내역, 그다음에 채널A 해당 기자들의 두 달 치 통화 내역을 비교해보면, 그리고 또 아니라고 한다면 채널A 기자가 들려줫던 음성과 그 녹취록을 공개하면 지금 이런 부분은 해명되지 않을까 싶어요. ■최욱: 반면에 채널A 쪽에서도, 우리 선생님 말씀하신 거랑 정반대로 이철 측으로부터 먼저 접근 시도 있었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거든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제보자: 채널A 입장에서는 그렇게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봐요. 왜 그러냐면 채널A 저랑 만났던 기자 선에서 일이 진행됐다고 보이지 않아요. 채널A 기자들이 저한테 누차 얘기했던 게 자기네 핵심간부들이 알고 있다. 또 사장도 알고 있다. 그것도 다 파일에 있는 내용이고요. 또 이렇게 제안을 해요. 제가 만남을 거부하니까 채널A 사회부장이 직접 만나보고 싶어한다. 같이 만나자고 해서 내가 거부했어요. 왜 만나냐 만나는 게 적절치 않다. 기록으로 다 있습니다. 핸드폰 문자로. ■최욱: 그러면 선생님 말씀대로라면 채널A 기자 개인 차원이 아니라 채널A 조직 차원에서 이 일이 이루어졌다. ■제보자: 저는 그렇게 생각해요. 그렇기 때문에 지금 채널A가 반박하는 구조를 보면 기자 개인의 일탈이라고 자를 수도 없고 왜냐면 윗선까지 다 알고 있으니까. 그러니까 오히려 전체적인 상황을 이철 대표 쪽에서 먼저 제안해서 만났다는 식으로 얘기를 했는데요. 아마 채널A 측이 그렇게 대응하는 또 다른 이유는 제가 전 과정에 대한 녹음파일, 이런 전체적인 거를 제가 갖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니까 그렇게 우기면 대응할 수 없겠지 라고 생각해서 그렇게 대응하는 거 같아요. ■최욱: 선생님은 왜 이렇게 용기를 내서 증언을 하고 계시는 겁니까? ■제보자: 저도 두렵죠. 대한민국에서 제일 강하다는 두 권력이잖아요. 언론권력 검찰권력. 그래서 제가 채널A 그 기자하고의 만남을 중간에 몇 번 거부를 했어요. 그런데 거기서 나온 진행하고자 했던 의도가 이번 총선에 개입하려고 하는 의도가 분명히 보였어요. 저한테 자료의 공개시점을 가장 적절할 때가 3말 4초다 라고 얘기를 해요. 이철 대표는 3월 중순쯤에 부를 거다. 미리 실제 수사일정을 알고 이야기하는 거 같았어요. 그리고 실제로 3월 중순에 불렀어요. 그렇게 얘기를 하는 거 보면 이 전체적인 기획이 기자 개인의 특종 욕심에서 일어난 게 아니고 어떤 큰 그림을 가지고 기획을 갖고 일어났다고 저로서는 충분히 상상할 수 있는 거죠. ■오언종: 알겠습니다. 더 라이브는 인터뷰에서 언급된 검사장과 채널A의 반론도 함께 듣도록 하겠습니다. 언제든 반론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ranked in date | views | likes | Comments | ranked in country (#position) |
---|---|---|---|---|
2020-04-06 | 347,143 | 20,659 | 1,738 | (,#15) |
2020-04-07 | 374,174 | 21,532 | 1,907 | (,#28) |